1. could + 동사 원형과 could have 과거완료
A. could + 동사 원형
could + 동사원형은 보통 can 과는 다른 뉘앙스를 가지는 표현이다. 난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할 때, "I can do everything"으로 표현을 하면 되지만, 이때 could를 쓰면 뉘앙스는 조금 다르다.
" I could do everything"
이때는 " 난 무엇이든 할 수 있을 지도.."라는 느낌을 갖는 표현으로 다소 불확실할 때 쓰인다.
* 물론 can의 과거인 표현으로 쓰일 때도 있다.
B. could + have 과거완료
could have 과거완료 형태는 가정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내가 무엇이든 할 수 있었을 텐데..라는 의미를 표현하고 싶을 때 바로
"I could have done everything"
이라고 말하면 된다. 이는 가정의 의미이므로, 그렇게 하지 못했다는 것을 동시에 의미한다.
* have got?
could have pp와 비슷한 have got 표현이 있다. 이 표현은 'have' 가지다 와 거의 동일한 뜻이다. 의역해보자면 '가지고 있어'라고 말하고 싶을 때 쓰이지만 had got은 쓰지 못한다. 그러면 왜 이렇게 복잡한 표현을 쓰일까? have는 사실 '가지다'라는 뜻의 동사이기도 하지만, 식사, 시간, 파티와 같은 다양한 행동을 뜻하는 명사와 같이 쓰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가진다는 뜻보다는 "식사를 했다, 시간을 보냈다, 파티를 했다"라는 뜻이 된다. 이렇게 행동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듣는 사람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확실하게 소유의 의미를 추가하기 위해서 have got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지 않았을까 싶다.
2. Must 와 Can't
무엇인가 틀림없다는 말을 하고 싶을 때, MUST라는 표현을 쓴다.
"너는 잘생김이 틀림없어( 넌 확실히 잘생겼어) "
"너는 천재인 게 확실해"
등의 표현을 할 때 "you must be ~ "라고 쓸 수 있다.
반면에, Can't는 불가능하다는 표현을 할 때 쓰인다. 예를 들면,
"네가 잘생겼을 수는 없어"
"네가 천재라고? ( 넌 확실히 아니야) "
라는 표현을 하고 싶을 때는 "you can't be ~"라고 말하면 된다.
* must 와 can't는 조동사
조동사 앞에는 have + been의 표현이 쓰일 수 있다.
이때는 "~해왔음에 틀림없다" 혹은 "~ 하지 않았을 리 없다"라는 표현으로 쓰인다!!
만약 must를 과거형으로 쓰고 싶다면, must have + 완료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했어야 했음에 틀림없다"라는 뜻을 가진 표현을 만들 수 있다.
3. May 와 Might
앞서 이야기한 Must와 Can't의 약한 표현으로 May와 그 과거형 Might 이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단순한 시제 외에 다른 뉘앙스가 포함되어 있다.
A. May, 약한 추측 그리고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
먼저 may와 형용사가 같이 쓰이면, 약한 추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역해보자면,
"너는 잘생겼을지도 몰라"
"너는 아마 천재야"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할 때에 May와 행동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do 동사가 같이 쓰인다.
예를 들면,
" 나는 갈 거야 "
" 비가 내릴 거야"
등의 표현으로 미래의 가능성을 말할 때 may + 동사 표현이 쓰인다.
B. Might , 약한 추측 그리고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
may와 아주 비슷하지만, 어느 특정 상황을 가정하면서 약한 추측을 말할 때는 Might이 쓰인다.
예를 들면,
" 너는 잘생겼을 거야 ( 어떤 면에서 보면 말이지.. )"
" 너는 천재일지도? ( 근데 어떤 분야는 바보 같단 말이지..? ) "
마찬가지로,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할 때는 행동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do 동사가 같이 쓰인다.
C. May or Might as well 표현!
숙어처럼 may as well or might as well이라는 표현이 조동사처럼 쓰입니다. 이때는 "동사하는 게 최선이다"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 나는 거기 갈 일 말고는 할 게 없어(가는 게 나아)"
" 그거 말곤 달리할 게 없잖아?(그거 하는 게 낫다)"
등의 뉘앙스를 가지는 표현을 쓸 때 이 may as well을 쓰면 된다.
* May 와 Might 또한 조동사이므로 have + been 표현이 쓰인다.
추가적으로, may와 might 뒤에 not 이 붙으면 부정의 의미 표현이 된다.
4. have to do 와 must do의 차이
have to do 와 must do는 "~해야 한다"라는 뜻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차이는 각각 의무와 감정이 수반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안경을 써야 합니다"
" 잔디 밭에 들어가지 마세요"
등 의무적인 뉘앙스에는 have to를 쓴다.
그리고,
" 그 사람 나한테 잘해줘야 되는 거 아니야?"
" 너 맞아야겠다"
등의 감정이 들어간 상황에서 must do 가 쓰인다.
5. should
마지막으로 그 유명한 토익 문제의 should + 제안 명령 요구... 의 should이다. should 또한 ~해야 한다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지만, 종종 누군가에게 제안이나 요구를 할 때 쓰인다는 차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 내 생각에, 학교는 우리에게 장학금을 줘야 해"
" 온갖 비리를 갖는 XXX는 당장 퇴임하라! "
등의 제안 요구를 하는 문장에서는 should 동사원형이 쓰인다.
추가적으로 should는 옳거나 기대되는 상황에도 쓰인다.
예를 들어,
" 공부를 잘하려면, 집에서 공부해야 해"
" 너는 그렇게 놀기만 해서는 안 돼"
등의 표현을 쓸 때는 should or should not으로 표현한다.
* should는 또한 미래의 일에 대한 추측 표현으로도 쓰이기도 한다.
5개 문법을 포함하는 예시 문장
총 다섯 가지 문법 표현을 배웠다.
예시 문장을 직접 만들어보고, 통째로 암기하여 문법을 숙지하도록 하자.
예시 문장: 탐정 셜록의 사건 현장 관찰
병원에서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는 50대의 의사로 사건 당일 오후 7시에 날카로운 흉기에 의해서 즉사하였다. 나는 5명의 용의자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병원 원장, 교수, 청소부 그리고 레지던트 A, B이다. 먼저 병원 원장은 사건 당일 피해자와 다툼이 있었지만, 그 시간에 골프를 치러 갔었기 때문에 피해자를 죽일 수는 없었다. 레지던트 B 또한 과제 보고서를 제출해야 했기 때문에 용의 선상에서 제외된다. 그렇다면, 유력한 용의자는 나머지 셋임에 틀림이 없다. 피해자 사망 한 시간 전, 교수는 레지던트 B에게 과제 보고서를 그 시간 제출하라고 했다. 그리고 자기는 계속 방에 있었고, 자신이 그 자리에 있었다면, 그러한 비극이 발생하지 않았을 거라고 했다. 청소부는 그날 옥상 청소를 해야 했었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레지던트 A는 그 시간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고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했다. 유력한 용의자 세 명중에서 찾는 게 나을까? 과연 범인은 누구일까?
Memorization: Detective Sherlock's crime scene observation
There was a murder at the hospital. The victim, a doctor in his 50s, was killed instantly by a sharp weapon at 7 p.m. on the day of the incident. I have got a list of five suspects. The hospital director, professor, cleaner, and residents A and B are them. First, the hospital director had a quarrel with the victim on the day of the incident, but he could not kill the victim because he went to play golf at that time. Resident B is also off the list of suspects because he must have submitted a task report. Then, there must be the other three suspects. An hour before the victim's death, the professor asked Resident B (should) submit a task report at that time. And he was in the room the whole time and said that if he had been there, such a tragedy could not have happened. The cleaner says he had to clean the roof that day. Lastly, resident A said he might have been looking after a hospital patient at the time. May as well it find one of the three prime suspects? Well, who's the culprit?
'LANGUAGE > English Gram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 정리: Although, Though, Even Though, In Spite of, Despite (1) | 2023.07.13 |
---|---|
Verb + -ing 와 Verb + to: 알아두면 도움되는 팁 (1) | 2023.07.13 |
간접적인 가정법 (0) | 2022.02.24 |
Can과 Could: 알아두면 유용한 영어 표현 (0) | 2022.02.23 |
현재 진행형(Present Continuous) (0) | 2022.02.23 |